DX Data School

Cloud Computing

Kim J 2024. 4. 1. 14:15

1. 개요

1) On-Premise

  • Cloud 개념이 도입되기 전에 기업이 자체 데이터 및 솔루션 등을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IT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
  • 하드웨어를 포함한 모든 자원 (CPU, 메모리, 라이센스, 네트워크 등) 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과 탄력적이지 않은 제한된 용량으로 지속적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지만 기업에 내재화된 서비스를 통해 품질 및 보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
  • 설계를 할 때 가급적 최대 사용량을 근거로 하고 네트워크 트래픽 또한 최대 순간 트래픽을 가정하기 때문에 고사양 설계를 하게되고 증설에 따른 시간적, 인적 비용을 무시할 수 없음
  • 최근에는 많은 기업이 On-Premise 방식에서 Cloud 서비스로 전환을 고민
  • Cloud를 사용하는 경우 초기 도입 비용은 적을 수 있지만 오래 사용한다면 Cloud 비용이 더 높을 수 있음
  • Cloud는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정산 방식을 통해 필요에 따라 민첩하고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Cloud Computing 및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관리/조정 능력이 필요하고 현 상황에 적합한 Setting 값을 찾는 것이 서비스 안정화와 비용 절약의 시작이다.

 

2. Cloud Computing

  •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사업자의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
  • 서비스 제공자의 최소한의 권리나 개입만으로 신속하게 생성/제거/구성 할 수 있는 공유 공간의 컴퓨팅 자원들을 언제, 어디서, 단말의 종류와 관계없이 필요할 때 편리하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든 모델

 

1) Cloud가 등장하기까지의 흐름

  • 메인 프레임의 시대 (1980년대) : 대형 범용 컴퓨터에 모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 후 단말기를 이용해 입력하면 메인 프레임이 처리하고 결과를 단말기에 출력하는 방식
  • 분산형 클라이언트 서버 (1990년대) :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도 처리 기능을 부여
  • 네트워크 컴퓨팅 (2000년대) : 사내 시스템이 네트워크 환경위에 구축되며 처리가 서버로 집중
  • 클라우드 컴퓨팅 (2010년 이후) : 전 세계에 배치된 서버 리소스를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하는 모델

 

2) 보급 배경

  • 기술적 요소
    • 하드웨어의 발전
    • 빨라지고 저렴해진 네트워크
    • 거대해진 데이터 센터에 의한 규모의 경제 (스케일 메리트)

 

  • 인적 요소

 

3) 정의

  • NIST (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 ) 에서 정의한 클라우드
    • 공유 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의 통합을 통해 어디서나 간편하게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

 

4) 특징

  • 주문형 셀프 서비스 : 사업자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지않고 개별 관리 화면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
  •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
  • 리소스의 공유
  • 신속한 확장성
  • 측정 가능한 서비스 : 이용한 만큼만 요금을 부과

 

5) 장점

  • 경제성 : 초기 투자지용이 적게 듬
  • 자동화
  • 이동성 : 웹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서 사용 가능
  • 자원 공유
  • 가용성 : 사용 가능한 정도
  • 빠른 구축 속도
  • 확장성 (유연성/탄력성)
  • Redundacy or Resilience : 중복성 또는 탄력성

 

6) 한계

  • 네트워크
  • 보안
  • privacy
  • vender lock-in

 

'DX Data Sch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loud 이용 모델  (0) 2024.04.01
Cloud Service 종류  (0) 2024.04.01
Ubuntu Linux  (1) 2024.04.01
Numpy  (0) 2024.04.01
Github  (0) 2024.04.01